.
유방 클리닉
Home   >   유방 클리닉   >   유방암 검진
유방암 검진 양성 및 염증 질환, 유두분비물 유방 조직 검사 진공보조유방생검술/진공보조유방양성병변 절제술 양성 종양 절제 수술

유방암 검진

유방 자가 검진의 적절한 시기는 매월 월경이 끝난 직후가 가장 적합한 시기로 이 때가 유방이 가장 부드럽기 때문입니다.
자궁 제거술을 시행하였거나 폐경이 된 여성은 매월 일정일을 정하여 정기적으로 자가 검진을 해야 합니다.

먼저 거울에 비추어 자신의 유방의 형태를 관찰하고, 한 손을 머리 위로 올린 후 다른 한 손을 이용하여 가운데 세 손가락의
끝 바닥을 이용하여 유방을 촉진합니다.

촉진은 유방을 부드럽게 누르면 비비듯이 바깥쪽부터 원형을 그리면서 유두를 향하여 실시합니다.

유방암 자가 검진 3단계 방법

유방 자가 검진 주의사항

유방 자가검진을 할 때는 아래와 같은 변화 여부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 멍울

  • 유방 통증 및 함몰

  • 유두 분비물

  • 유방의 주름

  • 유두 습진

  • 유방 피부의 변화

유방암 검사는 크게 유방초음파와 유방 촬영으로 나뉩니다

/_files/6fzlp0D1t.jpg

저희 샬롬유외과에서는 35세 미만의 무증상 환자와 임산부에 대해서는 유방촬영을 권하지 않으나
나이가 어리더라도 기존 병변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유방촬영을 권하고 있습니다.

샬롬유외과는 유방암 공단지정기관으로 유방초음파 검사시

공단검진대상자이실 경우 공단검진 유방촬영을 함께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촬영은 전체적 유방의 구조 파악과 구조왜곡, 비대칭,

종괴의심 여부, 미세석회 등의 파악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 /_files/5_60iHrsh.jpg
  • 미세석회의 모습

유방초음파는 유방촬영만으로는 감별이 되지 않는

종괴(결절)의 모양 파악, 개수를 파악하는데 이용되는 방법입니다.


소위 만져지는 혹으로 오시는 경우 유용하며

유방 촬영술의 이상 소견시에도 필요합니다.


유방 보형물 삽입물의 평가에도 적절하며

각종 조직검사(중심침생검, 진공보조흡인장치 유방생검 및 수술)에도 쓰입니다.


또 종괴가 악성(암)인지 양성인지 감별하며

유방암 수술 전의 병기 평가 또는 수술 후 추적에도 이용하며

고위험군의 선별 검사로 이용합니다.


특히 치밀유방을 가진 젊은 여성은

유방 촬영만으로는 종괴 여부 감별이 어려우므로

반드시 유방 초음파를 병행해야 합니다.

  • /_files/5_60iHrsh.jpg 양성 병변의 모양
  • 악성 병변의 모양

위 초음파 사진은 대표적인 양성 병변과

악성 병변의 모양을 나타냅니다.


특히  드물게는 양성 병변의 모양 중에서도

악성이 나오는 경우도 있기에
어떤 경우에 조직검사가 필요할지 전문의와 상담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두 가지 검사 모두 유방암 검진에 중요합니다.

유방암 증상

유방암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없습니다.
유방의 통증은 이 시기의 일반적 증상이 아닙니다.

출처 : 국립암정보센터
  • 1

    가장 흔한 증상은 통증 없는 멍울이 만져지는 것입니다. 병이 진행되면 유방뿐 아니라 겨드랑이에서도 덩어리가 만져질 수 있습니다.

  • 2

    유두(젖꼭지)에서 피가 섞인 분비물이 나오거나 그 부위에 잘 낫지 않는 습진이 생기는 것은 유방암의 일종인 파제트병의 증세일 수 있습니다.

  • 3

    암이 심하게 진행되었을 경우에는 유방의 피부가 속으로 끌려 들어가 움푹 파일 수 있습니다. 유두가 함몰되기도 합니다.

  • 4

    ‘염증성 유방암’은 멍울은 잘 만져지지 않으면서 피부가 빨갛게 붓고 통증이나 열감이 있어서 염증이 생긴 것처럼 보이는 특수한 형태의 유방암입니다.

  • 5

    암이 진행하면 유방 피부의 부종(신체 조직의 틈새에 조직액이 괴어 그 부위가 부어오른 상태)으로 피부가 오렌지 껍질처럼 두꺼워질 수 있는데, 이것은 피부 밑의 림프관이 암세포에 의해 막혔기 때문입니다.

  • 6

    암이 겨드랑이 림프절에 전이되면 커진 림프절이 만져지기도 합니다. 암이 더욱 진행되면 커진 암 덩이가 유방의 형체를 거의 파괴할 수도 있습니다.

  • 7

    남성의 유방암은 여성의 100분의 1로 드물고 대부분 고령자에게 발생하는데, 보통 젖꼭지 밑에서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집니다. 따라서 나이 든 남자가 이처럼 멍울이 만져질 때는 별것 아닌 멍울인지 암 덩이인지를 판별하기 위해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