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항진증이 심할 경우 난임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특히 갑상선 기능이 저하된 경우 태아의 지능이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3
또한 유산, 저체중 신생아, 선청성 기형의 빈도가 증가합니다. 그래서 임신 중에 갑상선 호르몬의 균형을 유지시켜주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4
갑상선 기능이 떨어진 경우 갑상선호르몬 제제를 복용하게 됩니다.
5
갑상선 호르몬은 태아의 기형이나 발달과는 문제가 없는 매우 안전한 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저하증인 산모가 약의 부작용을 걱정하여 약을 끊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것입니다.
6
갑상선 기능이 항진된 경우 항갑상선약을 복용하게 됩니다. 항갑상선제도 적절하고 안전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1
갑상선에 생기는 혹은 95% 양성(암이 아님) 혹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딱딱한 고형 결절도 있고 단순 낭종도 있습니다.
3
일단 1cm 이상의 혹이 관찰되거나 작아도 악성이 의심이 되는 혹이 초음파 상에 관찰되었을 경우에는 세포검사를 시행합니다.
4
검사 결과 암이 아닌 양성의 결절로 진단을 받았을 경우에는 반드시 주기적인 초음파 검사가 필요합니다. 암이 아니라고 해도 대부분의 갑상선 결절은 크기가 자라기 때문입니다.
5
지속적으로 크기가 자라는 혹이나 혹의 크기가 커서 주위 조직을 압박할 때에는 수술 또는 고주파시술을 권하게 됩니다.